매년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에서 진행하는 조사의 세 번째 결실

[RNX뉴스 임윤수 기자] 인천 동구(구청장 허인환)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은 인천의 오래된 문화유산을 품고 있는 금곡동과 창영동에 대한 일 년간의 도시생활사 조사를 마치고 ‘배다리에서 쇠뿔고개까지 금곡동·창영동’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구는 2017년부터 매년 하나의 동을 선정하여 옛날 고문서와 신문, 사진자료를 수집하여 기초 조사를 진행한 후 직접 동네를 찾아 주민들의 심층 조사를 통해 마을의 이야기를 수집하고 있다. 2017년 송림동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송현동을 조사하였으며, 지난해에는 금곡동과 창영동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금곡동과 창영동 조사에서는 과거 우각동에서 시작되면서 나타난 형성 및 발전과정, 지명, 배다리와 쇠뿔고개의 옛 기록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개항과 경술국치, 3.1운동, 6.25전쟁,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의 큰 사건들에서 보이는 보다 집약적이고 미시적인 관점의 지역사를 수집했다. 나아가 이곳에 살았던 혹은 지금도 살아가고 있는 ‘이곳 사람들’이야기를 담고자 했다.

우선 이번 조사의 큰 성과는 1880년대부터 쇠뿔고개를 지칭하는 오래된 지명을 공문서와 지도, 신문 등에서 찾은 것이었다. 개항기의 공문서인 『인천항안』(규장각 소장)을 통해 쇠뿔고개 마을이 조성시기를 1896년경으로 한정하여 발견하였는데 동구의 조선인 마을의 형성 과정을 엿볼 수 있어 흥미롭다. 개항초기 조계지가 포화상태에 이르자 그곳에 살고 있던 조선인들이 옛 우각동(현재의 금곡동과 창영동), 송현동과 만석동 등지로 이주터를 찾은 과정이 『인천항안』의 인천부 관찰사였던 박세환의 보고문을 통해 알 수 있다.

지금의 창영동은 개항기에 인천 조선인 근대교육의 중심지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인천 3.1운동의 시발지였다. 보고서에서도 3.1운동의 100주년을 기념하여 근대 교육과 민족운동의 산실이었던 이 지역을 조망하였다. 또한 금곡동에 위치한 배다리시장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1950년대까지 인천의 유명한 시장이었다. 1910년대 매일신보에 나온 배다리시장 기사를 확인해볼 때 시장의 초기 위치는 쇠뿔고개 가는 길목이었던 것으로 보이나 1930년대 송현동의 신작로를 따라 생겨난 야시장 등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배다리삼거리 부근으로 자리잡았다. 지금도 이 시장을 구경했던 주민들은 ‘없는 것이 없었던 시장’으로 기억한다.

저작권자 © RNX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