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RNX뉴스] 박진우 기자 = 올해의 노벨평화상은 분쟁 과정에서 벌어지는 집단 성폭력을 근절하고 피해자들을 돕는데 헌신해온 콩고민주공화국의 드니 무켄제르 무퀘게(63)와 이라크 출신 여성 운동가 나디아 무라드(25)가 선정됐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한국시간으로 5일(오늘) 오후 6시, “전쟁과 분쟁의 무기로서의 성폭력 사용을 근절하려는 그들의 노력을 인정한다”면서 두 사람에게 2018년 노벨평화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 날 노벨위원회는 “두 사람은 전쟁범죄에 관심을 기울이게 하고 그것과 싸우는 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노벨위원회는 “인류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은 전쟁의 무기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들은 보호돼야 하며, 가해자들은 그들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고 처벌받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한편, 무퀘게는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성폭력 희생자들을 치료해온 산부인사 의사다.

프랑스에서 의학을 전공한 무퀘게는 일평생, 내전 과정에서 잔인한 성폭행이나 신체 훼손을 당한 여성 피해자들의 치료와 재활을 지원해왔다.

특히, 무퀘게는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돕기 위한 ‘판지 병원’을 설립하고 그동안 수만 명을 치료해왔다. 뿐 만 아니라, 무퀘게는 피해 여성들에게 숙소 마련, 심리 상담, 직업 훈련, 교육 프로그램까지 제공해왔다.

무퀘게는 지난 2012년 9월 유엔 연설에 나서, 성폭력에 책임이 있는 무장 세력들에게 국제사회가 단호히 대응해야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무장괴한의 습격을 받기도 했다.

그리고 무라드는 이라크 소수 민족인 야지디족 여성으로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인 이슬람국가(IS)의 성노예를 경험한 인권운동가다.

무라드는 지난 2014년 이슬람국가가 이라크 모술을 점령할 때 성노예로 붙잡혀, 약 3개월간 무자비한 성폭행을 당했다.

무라드는 IS 대원이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가까스로 탈출에 성공해, 지난 2015년 난민으로 인정받아 독일에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무라드는 이러한 상처를 딛고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이슬람국가에 의해 성노예로 붙잡혀온 야지디족 여성들을 위한 인권운동을 벌여 왔다.

특히, 무라드는 아직도 실종 중이거나 이슬람국가에 붙잡혀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약 3천 여 명의 야지디족 여성들을 위한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무라드는 친구 라미아 하지 바샤르와 함께 지난 2016년 유럽연합의 사하로프인권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한편, 올해 노벨상은 지난 1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2일 물리학상, 3일 화학상, 5일 평화상의 순으로 수상자를 발표했다.

남은 상은 오는 8일 발표되는 경제학상 1개가 남아있다. 올해 문학상은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파문 논란으로 지난 1949년 이후 69년 만에 선정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RNX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