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RNX뉴스] 박진우 기자 = 서울시가 선제적 미래사회 대응을 위해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자료를 토대로 2033년까지 25개 자치구별 미래인구를 처음으로 추계했다. 기존에는 시 단위의 추계치만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을 세분화한 것이다.

자치구별 장래인구 추계자료는 통계청이 발표한 ’13년 서울시 인구를 기준으로 인구변동 요인인 출생·사망·이동(전·출입)의 연령별 장래변동 수준을 예측해 가감하는 ‘코호트 요인법’을 적용해 자치구별로 산출했다.

서울시 분석에 따르면 ’13년 10.9%인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9년 14.3%로 증가해 ‘고령사회(고령인구 비율이 14% 이상)’로 첫 진입하고 ’26년에는 ‘초고령사회(고령인구 비율 20% 이상)’로 들어서 ’32년에는 서울시 모든 자치구의 고령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유소년(0세~14세)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13년 125만 8천 명에서 ’33년 105만 1천 명으로 20만 8천 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향후 20년간 서울시 모든 자치구의 인구구조는 현재 ‘항아리’ 형태에서 점차 저연령층이 줄고 고연령층이 늘어나는 ‘역피라미드’ 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됐다.

서울시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 각 자치구별 미래 예상 총인구, 연령별 인구구조 통계 등을 담은‘2013-2033년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 추계(’16.1.추계)’자료를 ‘서울통계’ 홈페이지(http://stat.seoul.go.kr)에 16일(화) 공개했다.

‘2013-2033년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 추계’는 통계청 국가승인 통계(제20114호)로 지정받았다.(’16.1.28)

자료에 따르면 중위연령(총 인구를 연령별로 세워 정 중앙에 있는 사람의 연령)은 전 자치구 평균 ’13년 39세에서 ’33년 48.6세로 9.6세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50세가 넘는 자치구도 9개나 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생산가능인구(15세~64세)는 ’13년 758만 3천 명(76.4%)에서 점차 감소세를 보여 ’33년에는 601만 7천 명(63.6%)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생산가능인구 100명 당 부양해야 할 인구수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13년 30.9명에서 ’33년에는 57.2명으로 증가가 예상된다.

총부양비=(0~14세 인구+65세 이상 인구)/15~64세 인구×100

한편 서울시 전체 인구는 ’13년 992만 6천 명에서 출생아 감소, 타 도시로의 이동 증가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감소해 ’33년에는 946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김기병 서울시 통계데이터담당관은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향후 20년 인구 변화 전망치를 처음으로 추계함에 따라 어르신·청소년 정책은 물론 시민생활과 밀접한 주택·교통·복지 등 서울시 주요 중장기계획의 효과적인 수립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통계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RNX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