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RNX뉴스] 박진우 기자 = 한국현대시인협회 부이사장과 관악문인협회장을 역임한 중견작가로, 시도 쓰고 수필도 쓰고 노래(작사)까지도 활발하게 쓰고 있는 노유섭 작가가 이번에는 소설집 《원숭이의 슬픔》까지 출간(전자책, 한국문학방송 출판부 刊)해 주위의 관심을 끌고 있다.

노유섭 작가는 <단비가 되기를>이란 책머리글(작가의 말)에서 "1997년 ‘금당계곡의 신화’를 통하여 소설로 얼굴을 내민 후 틈틈이 소설을 써 왔습니다. 소설을 쓰게 된 것은 시로서는 표현할 수 없는 삶의 이야기를 쓰고 싶어서이지요. 시와 소설은 사물이나 현상, 사건을 바라보는 각도와 관점이 다릅니다.

그리고 소설은 시와는 달리 일시적인, 즉흥적인 감정이나 서정만으로는 쓸 수 없다는 것을 압니다. 그러기에 객관적인 시각과 많은 자료 조사, 수많은 퇴고작업 등 많은 시간과 노력이 뒤따라야 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시로서는 표현할 수 없었던 작으나 따뜻한 이야기 혹은 반전이 있는 이야기를 쓸 수 있다는 게 좋습니다. 거대담론은 아니지만 소시민적 애환과 휴머니즘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2000년대 초까지 띄엄띄엄 9편의 단편을 발표하였는데 이후로는 소설에서는 떠나 시만 써 왔습니다. 그간 많은 시간이 흘렀고 어떻게든 이 또한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에 그 동안 발표한 작품을 책으로 엮고자 다시 타이핑을 하면서 ‘무너진 두 하늘’이란 작품을 추가로 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시든 소설이든 어디까지나 예술작품이기 때문에 저는 그 작품에는 나름의 감동이나 감흥, 깨달음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자칫 말장난이나 사변적 흐름에 빠지는 것을 저는 늘 경계해 왔습니다.

쓰여진 순서대로 편집한 이 10편의 단편이 독자에게 얼마나 감흥 내지는 감동, 깨달음을 줄지 알 수 없지만 우리 모두 이 어렵고 험한 세상 삶을 살아가면서 다소간의 위로와 카타르시스 내지는 교훈에 이르기까지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

무협소설이나 환타지소설처럼 시원시원하게 전개해 나가는 과정은 없으나 약간 답답한 느낌이 들지라도 한 자 한 자 곱씹어 보면서 천천히 읽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글이 읽히지 않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이 책의 글이 많은 독자들에게 읽혀지기를 바라는 마음이야 인지상정이겠지요.

오늘은 태풍 ‘찬홈’으로 인해 모처럼 단비가 대지를 적시는군요. 제가 쓰는 모든 글들이 그런 단비가 되기를 기도해 봅니다"라고 출간 소감을 밝혔다.

이 소설집에는 <금당계곡의 신화>, <고물장수와 사이다병>, <웃음소리에 이끌리다>, <별타령>, <웨딩드레스의 꿈>, <원숭이의 슬픔>, <붉은 아프리카 낙인>, <20년 만의 통화>, <대기발령기(期)>, <무너진 두 하늘> 등 10편의 단편소설이 담겼다.

특히 인상 깊은 두어 대목을 잠시 살펴보기로 한다.

“눈물 속에, 고통 속에서 새로이 눈뜨는 기쁨이 있는 것이지. 달콤함 속에 어찌 진정한 달콤함이 있다는 것인가. 직장생활이란 것도 회의와 좌절, 고통 그 모든 것들을 다 극복한 후에야 비로소 그 참 맛을 알 수 있는 것이고 진정한 기쁨과 평화 또한 누릴 수 있는 거야. 20년 전에 자네가 내 전화를 받고, 교문 밖으로 걸어 나가지 않았다면 지금쯤에사 아마 자네는 교사가 무엇이라는 것, 그리고 가르치는 기쁨이 뭐라는 것쯤 조금 알게 되었을 텐데 말이야.” (<20년 만의 통화> 중)

“두 하늘은 무너졌다. 두 하늘이 무너지지 않았다면 오늘의 이야기는 없었을 것이다. 그러한 하늘은 자주 무너진다. 하지만 그렇게 하늘이 무너지는 고통도 선물이 될 수 있다. 고통도 선물로 받아들이고 그 고통의 뿌리에 드러나지 않을 뿐 누구에게나 속 깊이 내재된 희생과 섬김, 사랑의 자양분을 뿌린다면 고통은 고통으로 끝나지 않고 선한 열매를 맺으리라.” (<무너진 두 하늘> 중)

임영천 문학평론가는 <원숭이의 슬픔>에 대해 “그래서 노유섭의 이 소설은 과거에 우리가 흔히 볼 수 있었던 무슨 동물 주인공의 우화소설도 아니고, 앞서 살폈던 무슨 독재·전제자(專制者)에 대한 풍자적인 알레고리 소설도 아니다. 그 때문에 이 소설을 무슨 성격의 소설로 규정짓는다는 것이 매우 난처한 그런 소설이라고 하겠다. 어떻게 보면 그만큼 독창적인 제재와 그 나름의 세계를 펼쳐 보이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이 작품이 그만큼 독창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무래도 작가의 무한대한, 문학의 상상력의 덕분이라고 생각된다. 작품상에 드러난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을 한마디로 말해 본다면, 거의 상상을 불허하는 지경에 놓여 있다고 표현할 수 있으리라”라고 밝혔다. (사진제공=한국문학방송)

저작권자 © RNX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